Tomorrow's Design, Today's Life Service

집 꾸미기

싸고 마음에 들게 인테리어 하는법

Igo. L 2024. 10. 1. 21:27
반응형
SMALL

 

누구나 싸게, 아니면 적어도 내 마음에 들게 인테리어를 하고 싶을 거예요. "인테리어 한번 해보니 성격 나오더라, 안 하던 부부싸움을 하더라, 사람을 못 믿게 되더라, 돈 가지고 도망갔다, 업체가 잠수 탔다, 내가 호구였구나" 등 인테리어 괴담(웃음)이 참 많습니다. 

 

분명한 것 몇 가지 적어봅니다. 

 

싸고 좋은 건 없다.
신경 쓴 만큼 품질이 나온다.
품질은 비용에 비례한다.
디자인을 변경할수록 비용은 올라간다. 
공사기간이 짧을 수로 비싸진다.
아래위 이웃과 평소에 문제가 많다면 이 또한 비용이 더 들어간다.(민원)
서비스 좋아하지 마세요.  결국 어딘가에서 빠져서 어딘가로 간 거예요. 
세상이치가 지불할 것 지불하고 받을 것 받으면 되는데 감정적인 우리는 참 쉽지 않아요.(웃음)
 그리고 업체는 직접 써봐야 알 수 있다. 친구가 공사할땐 괜찮았는데 내 공사할 때 금융 이슈가 발생할 수 있어요. 작정하고 사기 치는 몇몇을 제외하고 결국 상황이 그렇게 만 들 경 우도 있어요. 

 

주변에서 집 사진보시고 "어디서 인테리어 하셨어요?" 하면 전 직접 했어요라고 대답드렸어요. 비용적인 부분도 그렇고 품질이 만족스러워야 하기에 선택한 옵션이었습니다.

 

인테리어 진행 방식에 따라 비용구조가 달라지기에 오늘은 관련 형태를 알아볼게요. 


A type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하거나 굴지의 프로젝트를 수행한 디자인 회사

디자인을 진행하며 직접 공사를 진행하지 않는다.

고가의 설계비 지불이 필요.

영업이 아닌 B2B 위주로 진행하거나 지인의 소개로 프로젝트가 진행되어 아는 사람만 안다.

비용은 인력 투입 비용으로 계산됩니다. 고급인력 00명 00시간 + 중급 인력 00명 00시간 + .... 요런 계산이죠.

(외쿡에 일반적으로 진행되는 디자인 계산법)

B type

인테리어 블로그, 인스타 그리고 유튜브에 자주 등장하는 디자인 회사

디자인과 공사를 함께 진행한다.

설계비 명목이 있지만 시공 시 설계비를 깎아주거나 없애준다.

SNS 마케팅에 적극적이며 주로 B2C 위주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비용은 1건 얼마로 계산되며 세부내역은 콘셉트도 출 비용,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비용으로 구분됩니다.

C type

동네 인테리어라 불리는 아파트 상가에 입점 또는 한샘, 리바트, 홈씨씨, LX 지인 대리점으로 영업 및 활동

디자인과 공사를 함께 진행한다.

시공비만 존재한다.

SNS 마케팅에 적극적이며 주로 지역 중심으로 활동한다.

주방가구에 속한 인테리어 회사는 자사 제품이 꼭 들어가야 하기에 다양성에 제약이 따른다.

D type

시공만 진행하는 회사

디자인된 설계도서에 따라 시공만 진행한다.

설계변경은 어렵고 디자인 협의도 어렵다.

시공 전문성이 갖추어져 속도와 비용 컨트롤이 적정하다.

견적서는 각 공정별 또는 공간별로 면적 베이스로 금액이 책정됩니다. 자재비 + 인건비로 나뉘어 진행되죠

(웬만하면 견적서 보고 체크 어려워요. 예를 들어 디자인 포인트 쫄대 2m 진행에 재료 00만원 + 인건비 00만원 요런 식이죠)

그리고

E type

집주인 직영공사

디자인된 설계도서가 있어야 한다.(설계도서가 꼭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각 공정을 직접 컨트롤하여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인테리어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시간과 에너지를 투입할 여력이 있어야 한다. 결국 시공사가 컨트롤하는 업무를 개인이 진행해야 함

각 공정 반장님들을 콘택트 해서 기간과 비용을 확인받을 수 있어요. 물론 필요 자재의 종류 및 물량도 알려주시죠.

- 예를 들어, 목공 3명 6일 소요, 자재는 9t 합판(4x8) 20장, 석고 9t(4x8) 100장, MDF 20t(4x8) 10장, 다루끼 20 다발, 목공 본드 1박스....

(자재는 공사가 진행되는 중에 1~2회 정도 추가로 발주가 들어간다고 생각하세요)

 


 

세 가지만 기억해요!

1. 어느 형태의 진행을 원하느냐에 따라 비용이 달라집니다.

비용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A > B > C > D > E (직영공사 매니징이 부족하면 D, E 가 같을 수 있다)

2. 어느 정도 공사하느냐에 따라 비용이 달라집니다.

1) 공사 범위에 따라 전체 공사, 부분공사, 주방가구 포함, 붙박이 가구 포함, 제작 가구 포함, 지급 자재 여부 등등

2) 마감재 선택에 따라

- 바닥: 대리석 마감 > 타일 마감 > 국내 원목마루 마감 > P 타일류 마감 > 모노륨 마감

- 벽체: 대리석 마감 > 원목 마감 > 무늬목 마감 > 라임워싱(스타일 도장) 마감 > 도장 마감 > 벽지 마감

- 천정: 바리솔 마감 > 도장 마감 > 벽지 마감

3) 주방가구 품질: 주인 직발주 가능하며 핸들링 시 비용(10~20%)이 적용될 수 있음.

-인터내셔널 주방가구 브랜드 > 도메스틱 하이엔드 주방 디자인 브랜드 > 도매스틱 주방가구 브랜드(한샘, LX, 리바트) > 사재(동네) 주방가구 매장

3. 현장여건에 따라 비용이 달라집니다.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현장(좁은 면적으로 자재 적재가 어려운 현장 / 민원이 많은 현장)은 5~10% 정도 비용 추가 발생


 

 

 

아고의 Pick은 E type ✓

기간에 대한 여유를 가지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고 현장 매니징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직영공사를 선택했습니다!

 

 

ⓒ 아고

'집 꾸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테리어 직영공사 업체 선정 방법  (8) 2024.10.07
인테리어의 끝, 월패드 처리  (2) 2024.10.02
인테리어에도 절차가 있어요  (3) 2024.10.01
집은 직접 그려봐야지  (4) 2024.09.29
나다운 집의 시작  (11) 2024.09.27